반응형
mov를 기준으로 oprand(피연산자1) oprand2(피연산자2) commet 부분이다'
보통 피연사자가 1나만있는경우
push eax같은경우
스택영역의 eax값을올리는것이다
스택은 추후 나올예정
두가지에 예시는 이렇데
mov eax,1
이경우 opcode(명령어)는 mov고
oprand1은 eax
oprand2은 1이다
앞에 oprand1이 destionation목적지가되고
뒤의 것이 소스코드가된다
3개짜리도있지만 그건 나중에하기로하자
REF(참고한 블로그및 서적들)
http://seongwon654.blogspot.com/2017/06/assembly.html
어셈블리어(Assembly) 기초
0x01. 어셈블리 언어란 ? & 배우는 목적 CPU 에는 해당 프로세서에 명령을 내리기 위해 고유의 명령어 세트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명령어 세트를 기계어라고 한다 . 이 기계어는 숫자들의 규칙조합임으로 프로그래밍에 상당 히 난해하...
seongwon654.blogspot.com
리버스엔지니어링 바이블
반응형
'PC리버싱 > (구)기초정리 by 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틀엔디안 빅엔디안에 대해서 (0) | 2020.04.01 |
---|---|
어셈블리어 명령어들 정리 (0) | 2020.04.01 |
플래그 레지스터 (0) | 2020.04.01 |
세그먼트레지스터 (0) | 2020.04.01 |
범용레지스터 추가설명 (0) | 2020.04.01 |